논문집필규정
- 『신학과 세계관』에 제출하는 원고의 분량은 각주, 참고문헌, 도표, 부록을 포함하여 A4용지 기준으로 15매 (내외) 이어야 하며 20매를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단 논평, 서평 및 특별기고의 분량은 따로 정하지 아니 한다.
- 원고 작성의 기본적인 형식요건은 다음과 같다.
- 문서작성은 Microsoft Office Word을 기준
- 편집용지: A4(210×297㎜ 기준)
- 글자모양: 한글의 경우 한컴 바탕, 외국어의 경우 Times New Roman 10, 장평 95, 자간 -5
- 줄간격: 1.5줄
- 여백주기: 위쪽 60㎜, 아래쪽 60㎜, 왼쪽 50㎜, 오른쪽 50㎜, 머리말 10㎜, 꼬리말 10㎜
- 원고의 작성은 한글을 기본으로 하되 한자 표기가 필요한 경우 괄호 안에 넣어서 작성한다. 기타 외국어는 첫 번에 한하여 한글 표기 뒤의 괄호 속에 넣어 쓰고 그 뒤로는 쓰지 아니한다.
- 각 원고는 표지를 작성한다. 표지에는 논문의 제목, 필자와 공동 필자의 성명, 소속, 연락처(이메일, 전화)를 분명히 기록하여야 한다. 감사의 말이나 연구비 수령 사실은 각주로 기재한다.
- 요약문은 2000자(A4 1매 이내)분량으로 영어(제목과 저자명 명기)로 작성한다. 또한 국문과 영문으로 각각 5개의 주제어를 선정하여 표기한다.
- 본문 서술의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이 한다.
- 장ㆍ절ㆍ항ㆍ목의 번호는 “I”, “1”, “1)”, “(1)”, “①”의 순서로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저자의 의도를 최대한 존중한다.
- 인용과 출처 표기는 저자명과 간행연도를 반드시 표기하고 필요할 때에는 인용페이지를 덧붙여 기재한다. 예: “…이승철(2005: 25)…”; “라고 한다(이승철, 2005: 25).”
- 외국인 저자명은 한글로 표기한 후 괄호 속에 원어로 표기한다. 예: “… 허쉬(Hirschi, 1969)”
- 저자가 2인일 경우엔 두 저자명을 모두 기재하고 3인 이상일 경우엔 제1 저자명 외의 표현을 사용한다. 예: (이승철 외, 2005)
- 원칙적으로 인용과 출처 표기는 위와 같이 본문에 포함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저자의 의사를 존중하여 논문 내 일관성을 유지하는 한에 있어서는 각주인용도 허용한다.
- 참고문헌은 본문에 인용되거나 언급된 것만을 제시한다.
- 목록작성의 원칙
- * 일반적 사항
- (1)참고 문헌은 본문 다음에 ‘참고 문헌’이라는 제목 아래 나열하되, 본문에서 인용하거나 언급한 문헌만을 제시한다.
- (2)한글문헌, 동양어 문헌 (일본어, 중국어), 서양문헌 순으로 배열하되, 번역서 (예컨대 한글로 번역된 영문서) 는 해당원어 문헌으로 분류한다.>
- (3)한글·한자·일본어로 된 저자명은 가나다 순으로, 서양 문헌 저자명은 알파벳 순으로 나열한다. 중국어나 일본어 저자명은 한자의 한글식 표기에 따라 배열하되, 원어 표기를 알 때에는 괄호 속에 병기한다. 예) 菅谷章 (스가랴 아키라) (1988).
- (4)같은 저자의 문헌은 출판연도가 오래된 순서대로 배열하되, 같은 연도의 것이 두 편 이상일 때에는 연도 다음에 a, b, c, … 등 을 넣어 구별한다. 예) (1999a), (1999b)
- (5)참고문헌을 나열할 때 각 문헌의 둘째 줄(行) 부터는 3 칸 들여쓰기를 하여 각 참고문헌간의 구별을 쉽게 한다.
- * 저자 표기
- (6)저자가 1-5 명인 문헌은 이름을 모두 밝히고, 저자가 6 인 이상일 때는 ООО 외, ООО, et al. 로 표기한다. 예) 김막동 외 (1984). Winston, B. L., et al. (1983).
- (7)저자가 없는 문헌은 문헌 제목을 저자 위치로 두고 그 다음에 발간연도를 밝힌다. 단 인용문헌에서 Anonymous 라고 된 것은 이것을 저자로 간주한다.
- (8)만일 주 저자 다음에 with 와 더불어 다른 이름이 열거된 문헌 (예, Kuan- Hsing Chen with Hsiu-Ling Kuo, Hans Hang, an- d Hsu Ming Chu) 은 참고문헌에서는 이름을 모두 열거한다. 단, 본문에서 인용할 때에는 주 저자 이름만 밝힌다.
- * 연도
- (9)특히 단행본의 연도는 문헌이 인쇄된 연도가 아니라 저작권 표시 (ⓒ) 된 연도를 쓴다.
- (10) 발간연도가 불분명한 문헌은 (n.d.) 라고 쓴다.
- * 일반적 사항
- 목록작성의 원칙
- 논문
- (1)학술지나 기타 정기간행물에 게재된 논문의 예 : 홍 길동 (1991). 한국언론의 새로운 지평 연구. 「한국언론」, 35 권 1 호, 23 ~54. 홍길동·이몽룡 (1990). 국가와 언론.「한국언론」, 34 권 2 호, 123~148. Knapp, M., Ellis, D., & Williams, B. (1980). Perceptions of communication behavior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terms. Communication Monographs, 47 , 262~278. Scott, W. A. (1950). Reliability of content analysis: The case of nominal scaling coding. Public Opinion Quarterly, 51 (3), 79 ~ 91. (* 저널명, volume 은 이탤릭으로 처리) Glaser, R., & Bond, L. (Eds.). (1981). Testing: Concepts,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Special issue]. American Ps- ychologist, 36 (10). (저널 특별호 전체를 표기할 때). * 학술지의 권, 호수를 알 수 없을 때에는 저자 / 연도 다음에 발간 월이나 계절을 표기한다. 예 : Hall. E. (2002, September), 김막동 (1999, 가을)
- (2) 단행본에 게재된 논문의 예 : 홍길동 (1990). 한국 언론의 현재와 전망. 김막동·이몽룡 (편), 「한국언론학의 조망」 (45-66 쪽). 서울 : 새나라. Berger, C. R. (1987). Communicating under uncertainty. In M. E. Roloff & G. R. Miller (Eds.), Interpersonal processes:- New directions in communication research (pp. 39~62). Newbury Park, CA : Sage.
- (3) 단행본/보고서/학위논문의
*출판사 사항을 표기할 때엔 ‘출판사 소재 도시, 주 : 출판사 명’ (잘 알려지지 않은 도시일 때), ‘도시, 국가 : 출판사’ (영문 서적 중 미국 이외 지역일 때), ‘도시 : 출판사명’ (대도시일 때) 순으로 한다. 이때 주 state 이름은 약자로 쓴다 (예, CA, NY, IL). 출 판된 도시가 둘 이상일 때에는 가장 먼저 나온 것만 표시한다.
예 : Hillsdale, NJ: Erlbaum.
Oxford, England:Basil
Blackwell.
Amsterdam: Elsevier.
*출판사 이름에서 Books, Press 등은 밝히나, Publishers, Co., Inc. 등은 생략한다.
- 1) 단행본
예: 홍길동 (1990).「한국언론」. 서울 : 새나라. 홍길동·김막동 (편). (1995).「커뮤니케이션 연구」. 서울 : 새나라. (공편저일 때)Fiske, J. (1990).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 London : Routledge.Burgoon, J. K., Bowers, J. W., & Woodall, W. G. (1986). Nonverbal communication : The unspoken dialogue. New York : Harper & Row. (공저일 때)Gibbs, J. T., & Huang, L. N. (Eds.). (1991). Children of colo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with minority youth . San Fra- ncisco : Jossey-Bass. (공편저일 때) - 2) 보고서
예: 홍길동 (1999). 「한국의 언론인」(조사분석 99-03). 서울 : 한국언론재단.N 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1982). Television and behavior: Ten years of scientific progress and implications for the eighties (DHHS Publication No. ADM 82-1195). Washington, DC :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 3) 학위논문
예: 홍길동 (1994). 「한국 방송정책 연구의 동향」, 한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Ryerson, J. F. (1983). Effective management trainging: Two models. Unpublished master ‘ s thesis, Clarke College of Technology, Potsdam, NY. - 4) 번역서나 번역논문
* 번역서는 한글 번역서에 한해 원서명을 함께 밝혀준다.- (1)번역서
예: Seidman, S. (1998). Contested knowledge: Social theory in the postmodern era (2nd ed.). 박창호 역 (1999). 「지식논쟁: 포스트모던 시대의 사회이론」. 서울 : 문예출판사.Laplace, P. -S. (1951). A philosophical essay of probabilities (F. W. Truscott & F. L. Emory, Trans.). New York : Dover. (Original work published 1814). - (2)번역논문
예: Hall, S. (1996). 문화연구의 두 가지 패러다임. 임영호 (편역), 「스튜어트 홀의 문화이론」 (203-232 쪽). 서울 : 한나래출판사.(원저 출판연도 1980).Freud, S. (1961). The ego and the id. In J. Strachey (Ed. and Trans.),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 19, pp. 3-66). London : Hogarth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23).
- (1)번역서
- (5)신문/잡지 기사예: 안병영 (1990. 6. 28). 관료부패는 고질병인가. 「한국일보」, 5.언론개혁을 말한다. (2001. 9. 1). 「한국매일신문」, 1. (* 저자를 알 수 없을 때는 기사명, 날짜.신문, 쪽수 순으로 표기) Gardner, H. (1981, September). Do babies sing a universal song·Psychology Today, 70-76. (잡지 기사일 때)Study finds free care used more. (1982, April 15). APA Monitor, 14. (신문기사일 때).
- (6)인터넷 자료인터넷 자료를 참고한 경우, 해당 기관 (개인) 홈페이지 사이트명만 쓰지 않고 실제로 참고한 자료의 이름과 주소를 모두 표기 한다. 맨 끝에마침표는 찍지 않는다. 저자가 없을 때는 문서명을 저자 위치에 둔다. 출판일은 사이트에 명기된 날짜를 기준으로 하되, 날짜가 나와 있지 않을 때에는 접속일자를 밝힌다.예: Author, I. (date). Title of article. Name of Periodical [On-line], 호수, Available: 웹사이트 주소나 이메일 주소
- (7)시청각 자료 (영화, TV 프로그램, 음반, CD-ROM 등)예: Harrison, J. (Producer), & Schmiechen, R. (Director). (1992). Changing our minds : The story of Evelyn Hooker [Film].(New York : Changing Our Minds). (영화일 때). Crystal, L. (Executive Producer). (1993, October 11). The MacNeil/ Leher news hour. New York and Washington, DC : Public Broadcasting Service. (텔레비전프로그램일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