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츨라프가 수학한 베를린 선교학교 (Missionsschule in Berlin) 전경(1885년 경, 사진제공: 베를린 보헤미아 개혁파 교회)
“베를린 선교학교의 설립 정신과 배경을 살펴보는 것은 헤른후트주의가 어떻게 귀츨라프와 그의 선교신학과 연관이 있는지를 이해하는데 결정적 열쇠를 제공한다. 귀츨라프가 수학한 베를린 선교학교는 요하네스 예니케(Johannes Jänicke 1748~1827)가 빌헬름거리 29번지(Wilhelmstrasse 29)에 있는 베를린 보헤미아 루터파 베들레헴 교회 목사관(Pfarrerhaus)에 설립하여, 1800년 2월 1일에 개교했다. 이 선교학교가 사용한 건물은 1737년 보헤미아 루터파와 보헤미아 개혁파 베들레헴교회의 목사관과 학교 건물로 건축된 건물이었다. 예니케가 이 학교를 설립하게 된 신앙적, 신학적 배경에는 독일의 경건주의와 친첸도르프의 헤른후트주의가 있다. 예니케 개인적으로는 1788년 이후로 인도 선교사로 사역한 동생 요셉 다니엘 예니케(Joseph Daniel Jänicke)의 선교사역에 깊은 감화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오현기, 굿 모닝 귀츨라프: 한국에 온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 서울: 북코리아, 2014, 51-53)
린지의 북중국 항해기(1834, 2판)
중국 최초의 선교사 로버트 모리슨 (석판화, 1830년경)
요하네스 예니케(Johannes Jänicke)의 편지(1814. 10.18 )
1832년 논란의 기록 ‘Gan-keang’, 보령 고대도 ‘안항’ 확실
낯선 세계의 구원의 지식을 위한 지도 (Atlas zur Kunde fremder Welttheile, 1839년)
귀츨라프의 스승 요한 예니케 목사 전기 (1863년)
로드 애머스트호는 몇 톤인가?
귀츨라프의 편지 Prediger Wermelskirch에게(1850.10.16)
Evangelischer Reichsbote(1851년)
유리에 스테른(Julie Stern)에게 성명 미상의 프리드리히(Friedrich)가 보낸 편지, 1843년 3월 17일
화보신문(독문, Leipzig, 1845년)
외국의 문학을 위한 잡지( Magazin fuer Literatur des Auslsndes, 1834년)
귀츨라프의 3차례 동아시아 항해기(1834년, 영문 2판)
귀츨라프
귀츨라프가 순조대왕에게 진상한 한문성경은 무엇일까?
귀츨라프의 동아시아항해기 (1833년, 영문 1판)